환경오염으로 인해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이상기후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자연재해로 인해 재산을 잃어버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풍수해보험 가입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1. 풍수해보험이란?
풍수해보험은 태풍, 홍수, 호우, 강풍, 지진, 해일 등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재산이 피해를 입었을 때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보험입니다. 최근에는 한국에도 지진이나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가 자주 발생해 많은 사람들이 풍수해보험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풍수해보험 가입을 장려하기 위해 가입 시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가입할 때 큰 비용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럼 풍수해보험은 어떻게 가입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 풍수해보험 어떻게 가입하나요?
풍수해보험에 가입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근처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해 지자체 담당자를 통해 가입하거나 풍수해보험을 판매하는 보험사를 통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보험가입을 위한 서류 작성은 담당자가 계시면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알려주니 크게 신경 쓸 필요 없습니다.
풍수해보험을 판매하는 보험사는 DB손해보험, KB손해보험, 현대해상화재보험, NH농협손해보험, 삼성화재해상보험, 한화손해보험이 있습니다. 이 포스팅을 계속 읽어보면 보험료나 보장금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정확한 보험료나 보장금액을 알기 위해서는 보험사에 직접 문의해야 합니다.
3. 풍수해보험료 정부 지원금은 얼마인가요?
풍수해보험에 가입하게 되면 정부에서 보험료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계층별로 얼마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일반 : 70-92%
- 차상위계층 : 77.5%-92%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 86.5%-92%
-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은 적 있는 경제취약계층 : 100%
4. 풍수해보험료는 얼마인가요?
풍수해보험료는 보험 종류와 위치에 따라 가격이 달라집니다. 그래서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금액이 비율로 산정되는 것입니다. 그럼 풍수해보험료는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주택(80m*2) : 43,900원
- 온실(1,000m*2) : 273,000원
- 상가(소유자) : 129,200원
- 상가(임차인) : 71,200원
- 공장(소유자) : 162,900원
- 공장(임차인) : 56,700원
풍수해보험료는 개개인마다 그리고 보험 종류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위 사항은 참고용으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보험료는 연간 단위로 책정된 금액입니다.
풍수해보험은 유형 I, II, III, VI로 나뉘어 총 4가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유형별로 가입대상이 달라집니다.
- 풍수해보험 유형 I : 주택과 온실을 대상으로 하는 개별가입상품
- 풍수해보험 유형 II : 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단체가입상품
- 풍수해보험 유형 III :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실손비례보상형 상품
- 풍수해보험 유형 VI : 소상공인 상가 또는 공장건물을 대상으로 하는 실손비례보상형 상품
위 유형들을 참고해 본인 상황에 맞는 상품을 골라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5. 풍수해보험 보장범위는 어느 정도인가요?
풍수해보험은 대상에 따라 보장받을 수 있는 범위와 금액이 달라집니다. 그럼 대상별로 최대 보상받을 수 있는 금액은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주택 : 7,200만 원
- 온실 : 868만 원
- 상가 : 소유자 1억 원 / 임차인 5,000만 원
- 공장 : 소유자 1억 5,000만 원 / 임차인 5,000만 원
이 수치들은 참고용으로 보시길 바랍니다. 상황에 따라 최대 보상금을 받지 못할 수도 있고, 보험사마다 보상금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정확한 금액은 직접 풍수해보험에 가입할 때 확인하시면 됩니다.
6. 마치며
지금까지 풍수해보험 가입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풍수해보험을 통해 이상기후와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자산을 보호해 보세요.